2.3.1 낙뢰(lightning闪光到地球)
1회 이상의 뇌격으로 구성된 구름과 대지사이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방전(閃絡)
2.3.2 하향 뇌방전(downward闪光)
구름에서 대지로 향하는 하향 리더(leader)에 의해 발단된 뇌방전
하향 뇌방전은 최초 임펄스로 구성되며, 최초 임펄스 후에 계속적인 임펄스가 이어서 발생할 수 있다. 1회 이상의 임펄스 후에 장시간 뇌격이 이어서 발생할 수도 있다.
2.3.3 상향 뇌방전(upward闪光)
접지된 구조물로부터 구름으로 향하는 상향 리더에 의해 발단된 뇌방전
상향 뇌방전은 다중 중첩 임펄스의 여부와 상관없이 최초 장시간 뇌격으로 구성된다. 1회 이상의 임펄스 후에 장시간 뇌격이 이어서 발생할 수도 있다.
2.3.4 뇌격(lightning冲程)
대지 또는 보호대상 구조물에 대한 단일의 전기적 방전
2.3.5 단시간 뇌격(短行程)
임펄스전류에 상응하는 뇌방전의 일종
이 전류의 파미시간 는 대체로 2ms 미만이다.
2.3.6 장시간 뇌격(长行程)
지속성 전류에 상응하는 뇌방전의 일종
지속성 전류의 지속시간 (시작점으로부터 파두부의 크기가 피크값의 10%가 되는 시간에서 파미부의 크기가 10%로 되기까지의 시간)은 일반적으로 2ms보다 길고 1s 미만이다.
2.3.7 다중 뇌격(多次冲程)
대체로 뇌격 사이의 시간간격이 약 50ms이며, 평균 3-4개의 뇌격으로 구성된 뇌방전
뇌격 사이의 시간간격이 10ms에서 250ms 범위이고, 수십 개의 뇌격으로 구성된 다중 뇌격도 보고된 바 있다.
2.3.8 뇌격점(罢工点)
대지 또는 돌출물(예 구조물, LPS, 선로, 나무 등)에 뇌방전이 일어나는 점
뇌방전은 2개 이상의 뇌격점에 방전하기도 한다.
2.3.9 임펄스 전류 파두의 평균준도(脉冲电流前端的平均陡度)
시간간격 ∆t = 동안 전류의 평균변화율
이는 시간간격의 시작점과 끝점에서의 전류크기의 차 ∆i = 을 시간 ∆t = 으로 나눈 값이다.
2.3.10 임펄스 전류의 파두시간(脉冲电流的前置时间)
피크값의 10%와 90%에 도달하는 순간의 시간간격에 1.25를 곱한 시간으로 정의된 가상파라미터
2.3.11 임펄스 전류의 규약원점(脉冲电流的虚拟起源)
뇌전류의 파두부에서 피크값의 10%와 90% 기준점을 통과하도록 그은 직선과 시간축의 교점. 규약원점은 피크값의 10%가 되는 순간보다 에 앞선다. 규약원점은 피크값의 10%가 되는 순간보다 에 앞선다.
2.3.12 임펄스 전류의1/2이 되는 파미시간(脉冲电流的半值到时间)
규약원점과 파미부에서 피크값의 1/2이 되는 순간까지의 시간간격으로 정의된 가상파라미터
2.3.13 뇌방전 지속시간(闪存时间)
뇌격점에 뇌전류가 흐르는 시간
2.3.14 장시간 뇌전류의 지속시간TLONG(长行程电流持续时间)
장시간 뇌전류의 상승부에서 파고값의 10%가 되는 순간부터 하강부에서 피크값의 10%가 되는 순간까지 지속되는 시간
2.3.15 뇌방전 전하QFLASH(闪存充电)
전체 뇌방전 시간동안 뇌전류를 시간으로 적분한 값
2.3.16 임펄스 전하QSHORT(脉冲电荷)
단시간 뇌격에서 뇌전류를 시간으로 적분한 값
2.3.17 장시간 뇌격전하QLONG(长冲程充电)
장시간 뇌격에서 뇌전류를 시간으로 적분한 값 섬락
2.3.18 비에너지(比能量)
전체 뇌방전 지속시간 동안 뇌전류의 제곱을 시간으로 적분한 값으로, 단위 저항에서 뇌전류에 의해 방산되는 에너지를 말한다.
2.3.19 임펄스 전류의 비에너지(脉冲电流的比能量)
단시간 뇌격 지속시간동안 뇌전류 제곱을 시간으로 적분한 값
비고 장시간 뇌격의 비에너지는 무시할 수 있다.
2.3.20 보호대상 구조물(受保护的结构)
이 기준에 따라 뇌격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를 필요로 하는 구조물
비고 보호대상 구조물은 대형 구조물의 일부분일 수도 있다.
2.3.21 선로 (line)
보호대상 구조물에 접속된 전력선 또는 통신선
2.3.22 통신선(电信线路)
전화선 및 데이터 선과 같이 서로 다른 구조물에 위치할 수도 있는 기기 간의 통신용도의 선로
2.3.23 전력선(电力线)
저압 또는 고압 선로와 같이 전기기기 및 전자기기가 위치한 구조물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선로
2.3.24 구조물 뇌격(结构lightning闪光)
보호대상 구조물에 작용하는 뇌격
2.2.25 구조물 근처 뇌격(结构附近lightning闪光)
위험한 과전압을 일으킬 정도로 보호대상 구조물 근처에 작용하는 뇌격
2.3.26 전기시스템(电气系统)
저전압 전력 공급 요소로 구성된 시스템
비고 IEC에서는 대체로 고압 이상을 공급자설비로 보고 있다.
2.3.27 전자시스템(electron系统)
통신장비, 컴퓨터, 제어계측시스템, 라디오시스템, 전력전자설비 같이 민감한 전자소자로 구성된 시스템
2.3.28 내부시스템(内部系统)
구조물 내부의 전기·전자시스템
2.3.29 물리적 손상(物理损害)
뇌방전의 기계적, 열적, 화학적, 폭발적인 영향에 의한 구조물(또는 내용물)의 손상
2.3.30 인축의 상해(生物的injury)
뇌방전에 의해 발생한 접촉전압과 보폭전압으로 인한 감전에 의해 동물이나 사람의 죽음을 포함한 영구적 상해
비고 인축이 다른 형태로 상해를 입더라도, 이 기준에서의 ‘인축의 상해’라는 용어는 감전으로 인한 위협으로 제한된다(상해 유형 D1).
2.3.31 전기·전자시스템의 고장(电气和电子系统的failure)
뇌전자기임펄스(LEMP)에 의한 전기·전자시스템의 영구적 손상
2.3.32 뇌전자기임펄스LEMP(照明电磁脉冲)
서지 및 방사성 전자계를 발생시키는 저항성, 유도성 및 용량성 결합을 통한 뇌전류에 의한 모든 전자기 영향
2.3.33 서지 (surge)
과전압 및/또는 과전류로서 나타나는 뇌전자기임펄스(LEMP)에 의해 발생하는 과도현상
2.3.34 피뢰구역LPZ(避雷保护区)
뇌전자기 환경이 정의된 구역. LPZ의 구역 경계는 물리적인 경계(예: 벽, 바닥, 천장)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2.3.35 리스크 (risk)
보호대상 구조물의 전체 가치(사람 또는 설비)와 관련하여 뇌방전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연간 평균손실 값
2.3.36 허용 리스크(可容忍风险)
보호대상 구조물에 대해서 허용할 수 있는 리스크의 최대값
2.3.37 피뢰레벨LPL(防雷等级)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뇌방전을 초과하지 않는 최대 그리고 최소 설계값에 대한 확률에 관련된 일련의 뇌전류 파라미터로 정해지는 레벨
비고 피뢰레벨은 일련의 뇌전류 파라미터에 따라 보호(방호)대책을 설계하는데 이용된다.
2.3.38 보호(방호)대책(保护措施)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보호대상 구조물에 적용하는 대책
2.3.39 피뢰LP(防雷保护)
뇌(뇌방전)으로부터 사람뿐만 아니라 내부시스템 및 내용물을 포함한 구조물의 보호를 위한 전체시스템, 일반적으로 LPS와 SPM으로 구성된다.
2.3.40 피뢰시스템LPS(防雷系统)
구조물 뇌격으로 인한 물리적 손상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전체 시스템
비고 피뢰시스템은 외부 피뢰시스템과 내부 피뢰시스템으로 구성된다.
2.3.41 외부피뢰시스템(外部防雷系统)
수뢰부시스템, 인하도선시스템, 접지극시스템으로 구성된 피뢰시스템의 일종
2.3.42 내부피뢰시스템(内部防雷系统)
피뢰등전위본딩 및/또는 외부 LPS와 전기적 절연으로 구성된 피뢰시스템의 일부
2.3.43 수뢰부시스템(空气终端系统)
낙뢰를 포착할 목적으로 피뢰침, 망상도체, 가공지선 등과 같은 금속 물체를 이용한 외부 피뢰시스템의 일부
2.3.44 인하도선시스템(下行导体系统)
뇌전류를 수뢰부시스템에서 접지극시스템으로 흘리기 위한 외부 피뢰시스템의 일부
2.3.45 접지극 시스템(地球终端系统)
뇌전류를 대지로 흘려 방출시키기 위한 외부 피뢰시스템의 일부
2.3.46 외부 도전부(外部导电部件)
뇌전류의 일부가 흐를 수 있는 배관, 케이블의 금속요소, 금속덕트 등과 같은 보호대상구조물에 인입 또는 인출되어 외부로 연장된 금속물체
2.3.47 피뢰등전위본딩 EB(发光等电位键合)
뇌전류에 의한 전위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직접적인 도전접속 또는 서지보호장치
2.3.48 규약 접지임피던스(常规接地阻抗)
일반적으로 동시에 발생하지 않지만, 접지극 전압과 접지극 전류의 피크값의 비
2.3.49 LEMP방호대책SPM(LEMP保护措施)
뇌전자기임펄스(LEMP)의 영향으로부터 내부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
2.3.50 자기차폐(magnetic防护罩)
전기·전자시스템의 고장을 줄이기 위해 보호대상 구조물 또는 그 일부를 감싸는 폐회로의 금속으로 된 격자모양 또는 연속적 차폐물
2.3.51 서지보호장치SPD(浪涌保护装置)
과도 과전압을 제한하고 서지전류를 전류(轉流)시키는 용도의, 적어도 하나의 비선형 소자를 포함하는 장치
2.3.52 협조된SPD시스템(协调SPD系统)
전기·전자시스템의 고장을 줄이기 위해 적절히 선택, 조합, 설치된 SPD
2.3.53 정격임펄스내전압(额定脉冲耐受电压)
과전압에 대한 기기 절연내력을 나타내며, 기기 또는 그 일부에 대해 제조자에 의해 지정된 임펄스내전압
비고 이 기준의 목적상, 도체와 대지 사이의 내전압만 고려한다.
2.3.54 절연인터페이스(isolating接口)
피뢰구역(LPZ)내로 인입되는 선로상의 전도 서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치
절연인터페이스는 접지차폐부 절연변압기, 비금속 광케이블 및 광절연 소자를 포함한다. 이 장치들의 절연내력특성은 절연인터페이스의 본질적 적용 또는 SPD를 통한 적용에 적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