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자동화시스템에서 낙뢰와 서지가 유입되면 심각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피해와 대비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낙뢰 및 서지로 인한 피해
전자 부품 손상: 과전압으로 인해 회로가 파괴되거나 절연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손실 및 오류: 시스템의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비 수명 단축: 반복적인 서지는 장비의 수명을 크게 단축시킵니다.
화재 위험: 심한 경우, 과전류로 인해 화재나 폭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비 방법
서지 보호 장치(SPD) 설치:
역할: 과전압을 접지로 우회시켜 민감한 전자 부품을 보호합니다.
설치 위치: 전원 및 통신 케이블의 진입부와 주요 회로에 설치합니다.
KS C IEC 61643-11,12, 21, 22
정기 점검: 제조사의 권장 주기에 따라 점검 및 교체를 수행하며 무인화, 유인화시스템에
서지유입 이력을 모니터링하여 Ai 기반 대처를 할 수 있도록 IoT시스템을 구축합니다.
낙뢰 보호 시스템 구축:
피뢰침 설치: 낙뢰 에너지를 안전하게 대지로 분산시킵니다.
접지 시스템 강화: 접지 저항 값을 최소화하고, 스타 그라운딩 방식을 적용합니다.
피뢰정보 및 접지정보를 모니터링하여 피해 예상대책을 수립하고, 사고원인등을 분석 할 수 있는
데이타를 확보하여, Ai / Big Data 시스템을 구축한다.
케이블 및 통신선 차폐:
차폐 케이블 사용: 외부 전자기 간섭(EMI)과 낙뢰 유도 전압을 방지합니다.
패시브 필터 + 서지보호기 설치: 유도 및 간접서지 및 전자파 간섭을 줄입니다.
센서보호 및 다양한 자동제어 통신 BUS시스템에 적합한 SPD를 설치한다.
정기적인 유지보수:
SPD 기능 테스트: 정기적으로 동작 상태를 점검합니다.
접지 시스템 점검: 접지 연결부와 접지저항 값을 확인합니다.
서지유입모니터링을 통한 서지정보 및 사고 이력 데이타를 확보하여, Ai기반 사고 예측 및
대책을 수립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교육 및 매뉴얼 제공:
유지보수 인력에게 최신 보호 기술과 장비 사용법을 교육하여 긴급 상황에 대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