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PC(화재안전성능기준)와 NFTC(화재안전기술기준)에서 "낙뢰"와 "서지" 등 외부 이상전압에 대한 명시적 언급은 기술별 기준에 따라 일부 보조적인 형태로 다뤄지고 있습니다.
1. 낙뢰 및 서지가 소방설비에 미치는 영향
- 
낙뢰 및 기타 서지(과도 전압)는 소방설비(화재경보기, 수신반, 감지기 등)의 전자부품을 손상시키거나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낙뢰는 또한 가스계 소화설비의 오작동이나 데이터 손실, 시스템 다운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접지 시스템의 불안정과 Surge Protection과도 연관됩니다. 
2. NFPC/NFTC에 언급된 보호 대책
- 
직접적인 서지 보호 규정은 아직 소방 관련 법령(특히 NFPC, NFTC)에는 명시적으로 도입되지 않았으나, 전기설비 기준(예: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KS C IEC 60364-5-53 및 61643 시리즈)에서는 서지 보호기(SPD)와 접지를 통한 보호 대책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 
피뢰설비 및 접지설비, 서지보호장치(SPD)의 설치 필요성에 대한 연구와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소방시설 기준 자체(NFPC/NFTC 문서)에는 명확한 의무사항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우 실제로 낙뢰 서지로 인한 오동작 및 파손 사례가 보고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기기 및 건축물 기준의 적용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3. 일반적 예방 및 대응 방안
- 
SPD 설치(서지 보호 장치): 자동화재탐지설비, 화재수신기, 감지기 등 주요 소방설비의 전원선, 통신선, 신호선에 SPD 또는 피뢰설비를 도입하여 보호 필요. 
- 
접지 시스템의 강화: 소방설비와 전기설비 간 접지 일체화 및 등전위화, 공통 접지의 적정성 확보. 
- 
서지모니터링시스템 : 서지의 유입 기록(유입시간, 서지크기, 서지유입방향, 빈도수, 소방시스템의 누설전류)을 모니터링하여 체계적인 예방대책과 소방시스템의 건전성을 On-Line으로 모니터링. 
- 
정기 점검 및 낙뢰 다빈도 지역 특별관리 등이 권장되고 있습니다. 
4. 제도/표준 참고사항
- 
낙뢰 서지 관련 규격: KS C IEC 60364-5-53(과전압 보호장치), KS C IEC 61643(서지보호장치), KS C IEC 62305(피뢰시스템). 
- 
NFPC 및 NFTC는 기존에는 화재안전성능 중심(운영기준), 세부 기술기준(제품, 설치방법)은 별도 문서로 분리 관리됨. 
요약
- 
NFPC/NFTC에 낙뢰 또는 서지 피해 예방의 명문화는 미흡하며, 현장에서는 전기설비 기준(피뢰‧SPD 등)을 보조적으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 
서지 및 낙뢰 피해 예방을 위한 SPD(서지보호장치) 도입,서지모니터링시스템 도입, 접지체계 강화 등 기술적 조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관련 기준의 법령 및 성능기준상 명확한 반영은 추후 강화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자동화재탐지설비나 중요한 소방설비에는 서지/낙뢰로 인한 피해 예방을 위한 SPD, 서지모니터링, 접지 등 기본적인 안전장치가 추천되며, 표준(전기설비기술기준, KS C IEC 60364/61643/62305) 참조가 필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