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비교
방식 |
특징/적용 |
대표 장소 |
기술적 논리 |
글로벌접지 |
넓은 등전위망, 전체 위험 분산 |
대형 플랜트, 발전소 |
대지전위상승 억제, 감전 최소화 |
통합접지 |
다양한 목적 설비 통합 접지 |
빌딩, 병원, 데이터센터 |
전위차 해소, 전체 설비 보호 |
공통접지 |
설비끼리 접지 공유, 유지 편리 |
일반 공장, 학교 |
접지저항 감소, 관리 간편 |
독립접지 |
각 장비별 개별 접지 |
통신국사, 실험실 |
전위 간섭 차단, 고장 국한 |
글로벌접지(GES, Global Earthing System)
-
IEC 61936-1, IEC 60364 등의 국제 표준에서 ‘글로벌접지시스템’이라는 명칭으로 규정됨.
-
시설 전체를 하나의 배전망처럼 접지망을 구성하여 등전위 유지를 요구.
-
접지저항, 접촉전압 및 대지전위상승(EPR)이 인체 감전 한계 이하가 되도록 설계해야 하며, 대규모 설비/산업시설에서 권장.
-
저압, 고압, 특고압 설비를 모두 하나의 접지망으로 연계함.
통합접지(Integrated Earthing)
-
IEC 60364, IEC 61936-1 등에서 명확히 규정.
-
건물이나 설비 내 전력, 통신, 피뢰 등 모든 도전성 부분을 하나의 접지점에 통합 연결.
-
전위차 해소, 등전위본딩 실현, 감전 위험 감소 목적.
-
동일 전기사용 장소 내 혼합 접지방식(개별접지·통합접지 혼용)은 금지.
공통접지(Common/Combined Earthing)
-
IEC 60364-5-54, IEC 61936-1 등에서 규정.
-
여러 설비의 접지극을 상호 연결, 접지저항을 낮추고 유지관리 용이성 목표.
-
저압 설비의 접지극이 고압 또는 특고압 접지저항 영역에 포함될 시 공통접지 적용.
-
변전소, 공장 등에서 활용.
독립접지(Separate Earthing)
-
IEC 60364에서는 TT, IT계통에서 설비를 외부 접지극에 개별 연결하는 방식을 언급.
-
각 장비별 접지저항 평가, 허용 접촉전압 기준 유지.
-
민감기기, 통신설비, 실험실 등에서 서로 간섭 없이 별도 접지망 구성이 필요.
국제적으로 IEC 규격은 안전성(접지저항 및 허용접촉전압), 등전위, 설비 간 전위차 최소화 등을 핵심으로 규정하며, 각 국가의 전기설비기술기준(KSC·KEC) 역시 이 기준을 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