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ite has limited support for your browser. We recommend switching to Edge, Chrome, Safari, or Firefox.

해상풍력 발전의 전식 위험과 서지프로텍션(SPD) 필요성

해상풍력 발전의 전식 위험

  • 해상풍력 발전 설비는 바닷물의 염분, 습도, 바람, 파도 등 극한 환경에 노출되어 구조물 및 케이블, 장비의 금속 부식 위험이 높다.

  • 주요 방식 방법으로는 방청 코팅, 부식 저항성 합금 사용, 희생양극 등을 활용한 전기적 전식방지 방식, 스테인리스강 링 접지극 설치 등이 있다.

  • 부식 방지 대책은 설비의 안전성, 수명 연장, 유지관리비 절감에 필수적이다.

서지프로텍션(SPD) 필요성

  • 해상풍력 설비는 높은 위치와 개방 환경 특성으로 평균 낙뢰 횟수가 높아, 직접·간접 낙뢰에 매우 취약하다.

  • 낙뢰 전류와 전자기 펄스(LEMP)에 의해 발생하는 과도 전압은 발전기, 인버터, 통신/제어/센서 장치 등 민감한 전자·전기장비의 오작동 및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 IEC 61400-24, IEC 61643, IEC 62305 등 국제 표준에서 SPD 설치와 적합한 모델 선정, 보호구역(LPZ)설정, 등급별 SPD 적용을 상세히 규정한다.

  • SPD는 각 보호 구역의 경계(타워 기지, 엔진실, 나셀, 허브, 제어 캐비닛 등)에 배치하며, 타입 1(뇌서지용), 타입 2·3(전원·신호용)을 효과적으로 조합한다.

  • SPD는 내구성, 방전전류 용량(최대 12.5kA 10/350μs), 동작시간, 백업휴즈, 상태표시 및 원격알람기능 등의 사양을 확보해야 한다.

  • 서지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유입서지에 대한 분석과 대책을 실행한다.
  • 낙뢰예보시스템을 설치하여 인명과 발전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접지와 낙뢰보호 시스템의 기술

  • 풍력타워와 발전기는 금속 구조물이 많아, 패러데이 케이지 역할을 하여 차폐 효과를 극대화한다.

  • 금속 구조부, 케이블의 차폐, 등전위본딩 접속은 낙뢰·서지에 대한 장비 내성 및 인체·동물 보호에 필수적이다.

  • 접지시스템은 기초 환상 접지극(스테인리스 링, 강화철 등)을 타워베이스·운영건물에 결합하여 메시 네트워크로 구성하며, 전위 상승과 스텝전압 위험을 최소화한다.

  • 접지극 재질 및 단면적, 부식 방지 연결, 콘크리트 피복 등을 통해 구조적 내구성과 부식 저항성을 강화한다.

  • 적절한 접지 설계는 모든 서지방호·낙뢰방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며, 접지와 SPD의 협동은 계통을 체계적으로 보호한다.

풍력설비 보호 시스템의 주요 적용 사례

  • 발전기 라인, 변압기, 인버터, 제어반, 허브, 통신 및 센서라인 등 각 부위에 맞는 SPD(고에너지 MOV, TPAE 기술 등)를 활용한다.

  • 환경 또는 신호랜 등 민감한 회로에는 전용 SPD 및 등전위 본딩을 적용한다.

  • 설치 기준: IEC/EN 61643-11, UL 1449(4th), IEEE C62.41, KS 등 국제·국내 규정 준수.

  • 운영환경(온도, 습도, 진동, 염수분무, 곰팡이 등)에 따른 신뢰성 검증 필요.

TAPE 기술의 개요

  • 금속 테이프(Tape)는 패러데이 케이지 원리에 따라 풍력발전기, 나셀 등 주요 구조 주위에 노출 도체 또는 편조 테이프로 설치되어 낙뢰 전류를 집중적으로 분산·전도함.

  • 일반적으로 동(구리) 또는 알루미늄 금속 테이프를 구조물 외면, 타워 내외부에 접지 접속하도록 배치하여 번개가 타격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낙뢰 전류를 대지로 흘려보낸다.

  • 테이프 방식은 둥근 도체(케이블) 방식보다 설치가 간단하고, 대면적 접촉에 의한 낮은 접지 저항 등 장점이 있다.

기술적 특징 및 적용 방식

  • 나셀이나 블레이드의 외부, 구조물 주변에 Tape를 연속적으로 설치해 전체를 감싸듯이 패러데이 케이지 효과를 제공.

  • 다운 컨덕터로 연결되어 접지망에 직접 연결함으로써 구조 내부의 민감한 전자·전기기기의 피해를 최소화함.

  • Tape는 규격에 따라 폭·두께·재질이 결정되며, IEC 61400-24 등 풍력발전 낙뢰보호 표준에서 그 설치 방법과 최소 규격을 명시함.

  • 장기 내환경성(염분, 습도 등) 내구성과 접속부 부식 방지 처리가 반드시 필요함.

풍력 현장의 Tape 적용 예시

  • 해상풍력 타워 외면에 동 테이프 편조 설치: 타워 상부부터 하부 기초까지 연속 연결.

  • 나셀 외부 구조물(비금속 부위 포함) 본딩: 모든 금속부 접속.

  • 구조물의 등전위 본딩(Tape 사용)으로 전위 상승 차단 및 인체 보호.

Tape(금속 편조 테이프) 기술은 풍력 및 각종 발전설비의 낙뢰·서지 보호, 접지 시스템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다.

Use coupon code WELCOME10 for 10% off your first order.

Cart

Congratulations! Your order qualifies for free shipping You are ₩200 away from free shipping.
No more products available for purch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