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ite has limited support for your browser. We recommend switching to Edge, Chrome, Safari, or Firefox.

피뢰침 DAS(정전분산형), 쌍극자, ESE(광역/능동형), 일반 돌침(프랭클린형)의 차이점

피뢰침 DAS(정전분산형), 쌍극자, ESE(광역/능동형), 일반 돌침(프랭클린형)의 차이점과 성능 검증 데이터

구분

원리 및 구조

기대 효과 및 특징

국제 표준/인정 현황

단순 금속봉(프랭클린형), 높이로 낙뢰 유도 후 대지로 방전

구조가 간단, 검증된 방식, 보호 반경은 높이에 비례

IEC 62305 등 국제표준 인정

전자회로나 방전장치 내장, 낙뢰 발생 직전 스트리머를 조기 방출

보호 반경 확대(설계상), 설치 수량 및 비용 절감 주장, 능동적 낙뢰 유도

프랑스 NFC 17-102만 인정, IEC 미인정

다수의 침 전극에서 이온 방사, 대기 공간전하 중성화로 낙뢰 발생 자체 억제 주장

낙뢰 유도 억제(몰아내는 개념), 구조물 보호, 이론상 낙뢰 자체 발생 감소

국제표준 미인정, 과학적 입증 부족

피뢰침 본체(양전하)와 절연된 방전 갓(음전하)로 쌍극자 구성, 코로나 방전 유도

뇌운의 전하와 상호작용해 낙뢰 발생 조건 자체를 억제(무극 상태), 실제 적용사례 일부 존재

공식 국제표준 없음, 현장 적용 일부

ESE(광역, 능동형) 

스트리머 조기 방출로 보호 반경 확대 주장(ΔT 개념).

  • ESE와 일반 피뢰침의 임계 섬락전압, 방전 시간차는 거의 차이가 없음(2㎲ 이내).

  • 방전 회수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없음(120회 중 ESE 61회, 일반 55회).

  • 프랑스 NFC 17-102만 인정, IEC 62305 등 국제 표준에서는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음(이론적 근거, 실험 재현성, 장기 신뢰성 부족 이유).

DAS(정전분산형)

  • 일부 제조사 및 국가에서 효과 주장, 그러나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신뢰성 있는 장기 현장 데이터 부족.

  • 임계 섬락전압이 일반 피뢰침보다 다소 높거나 유사(20kV 차이, 실질적 보호거리 4cm 수준).

  • 일부 시료는 오히려 일반 피뢰침보다 낮은 전압에서 방전 발생.

  • DAS 역시 국제적으로 공식 인정된 표준 없음, 효과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음.

  • 건물 높이 300m 이하에서는 DAS의 낙뢰 저감 효과 없음.

쌍극자

  • 코로나 방전 등 쌍극자 효과로 뇌운과의 전하 상호작용을 통해 낙뢰 발생 조건 자체를 억제.

  • 일부 리조트 등에서 일반 피뢰침과 병행 설치 후 낙뢰 피해 감소 사례 보고.

  • 국일반돌침

  • 제 표준이나 공인된 과학적 성능 검증 데이터는 부족.

일반돌침

  • 단순 구조, 수십 년간의 실제 적용 및 실험적 신뢰성 확보.

  • IEC 62305 등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유일한 방식.

모두 기존 일반 피뢰침 대비 이론적/실험적 우수성을 주장하나, 실제 성능 검증 데이터에서는 유의미한 차이 또는 우수성이 명확히 입증되지 않음.

IEC 에서는 ESE, DAS, 쌍극자 모두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음. 프랑스 등 일부 국가에서만 ESE를 제한적으로 인정.

실무 적용시에는 발주처의 기술 사양 및 해당 국가의 법규, 표준을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신뢰성검증된 데이터를 중시해야 함.

Use coupon code WELCOME10 for 10% off your first order.

Cart

Congratulations! Your order qualifies for free shipping You are ₩200 away from free shipping.
No more products available for purchase